분류 전체보기

    Javascript

    [JavaScript] 특정 링크의 파라미터 값 얻기 - 배열로 받는 법

    👉페이지의 주소에서 파라미트 얻기 function get_query(){ var url = document.location.href; var qs = url.substring(url.indexOf('?') + 1).split('&'); for(var i = 0, result = {}; i

    MYSQL

    [MYSQL] 특정 컬럼내 데이터 값 치환하기

    update 테이블명 set 컬럼명=replace(컬럼명,'대상문자','치환될문자');

    HTML

    [HTML] 역슬레쉬 원화로 작성하고 싶을때

    역슬레쉬 -> \ 원화 -> ₩

    관심사/엑셀

    엑셀 숫자만 추출하는 정규식

    \D+ 정규식과 빈 문자열 대체 =REGEXREPLACE(A11,"\D+", "") 또는 숫자로 캐스팅하여 : =VALUE(REGEXREPLACE(A11,"\D+", "")) 출처: https://www.it-swarm.dev/ko/regex/%EB%AC%B8%EC%9E%90%EC%97%B4%EC%97%90%EC%84%9C-%EC%88%AB%EC%9E%90-%EC%B6%94%EC%B6%9Cgoogle-%EC%8A%A4%ED%94%84%EB%A0%88%EB%93%9C-%EC%8B%9C%ED%8A%B8/830526561/

    Javascript

    [자바스크립트] 제곱하기/루트하기 Math.pow()

    정의 Math.pow는 특정 값을 몇 제곱 시켜주는 매서드이다. 사용법 Math.pow(특정 값,제곱값) 특정값^제곱값 사용예시 //양수 제곱 Math.pow(5, 2); //5의 2제곱 /값 : 25 //0.5 제곱 Math.pow(100, 0.5); //0.5제곱은 루트 /값 : 10 //음수 제곱 Math.pow(5, -2); // 음수 제곱은 분모와 분자가 바뀜 /값 : 1/25

    Javascript

    [자바스크립트/제이쿼리] 변수와 문자열을 붙히는 방법 두가지

    첫 번째 - 베이식 "변수"와 "문자열"을 붙일 때, +작성 이때, 변수는 다운 표를 사용하지 않고, 문자열은 따옴표로 감싸야한다. var date = new Date(); var date2 = Date(); var month = date.getMonth(); console.log("month" + month); //month7 위 스크립트에서 문자열 "month"과 변수 month를 콘솔에 출력하기 위해 +를 사용한 것을 볼 수 있다. 스크립트를 작성하다 보면, 정말 많은 변수를 만들게 된다. 플러스와 따옴표를 정말! 많이 써야 한다는 말이다. 개발자는 귀찮은 행동을 싫어한다. (정말!) 누군가 이 부분이 너무 불편하다고 스크립트 측에 연락을 한 걸까? 정말 좋은 방법도 생겼다고 한다. 두 번째 - 템..

    Javascript

    자바스크립트를 통해 <html>,<head>,<body>에 접근하기

    DOM 트리 상단의 노드들은 document가 제공하는 프로퍼티를 사용해 접근할 수 있다. DOM 트리 상단의 노드는 ,,를 뜻한다. = document.documentElement = document.body = document.head 출처 https://ko.javascript.info/dom-navigation#ref-123

    MYSQL

    컬럼(column)과 필드(field) 무엇이 다를까?

    칼럼(column)과 필드(field)는 주로 행을 뜻하는 용어로, 백 엔더들은 주로 혼용해서 쓴다고 알고 있었다. 정확한 차이가 무엇인지 구글링을 해보고 알게 되었다. 레코드, 필드는 파일 시스템상에서 표현되는 용어라고 한다. 실무에서는 어떤 걸 써도 크게 상관은 없을 것 같지만 차이는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. 파일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파일(file) 엔터티(Entity) 테이블(table) 레코드(record) 튜플(Tuple) 행(row) 키(key) 유일값(identifier) 기본키(Primary key), unique 필드(field) 어트리뷰트(attribute) 컬럼(column) 출처 http://www.sqler.com/476174

    MYSQL

    DB SELECT시 TOP 1과 LIMIT 1의 차이점

    MSSQL MYSQL 설명 TOP 1 LIMIT 1 테이블의 레코드를 조회할 때 결과 중 상위 x 개 만 표시한다. TOP는 MSSQL에서 사용되는 함수이고, LIMIT는 MYSQL에서 사용되는 함수이다. 두 함수의 효과는 테이블의 레코드를 조회할 때 결과중 상위 x개를 반환한다

    웹 기획

    웹 메뉴 용어 정리 - GNB/LNB/SNB/FNB

    웹사이트를 기획하다보면, 사이트의 메뉴들을 뭐라고 불러야할지 혼란스럽다. 어떻게 부르면 기획자들끼리 말이 통할까 싶어 찾아보았다. 구글링해보니 GNB/LNB/SNB/FNB로 검색하면 된다고 하는데, 각각의 정의를 알아보자. GNB (Global Navigation Bar) 한 사이트에서 어느 페이지들 들어가도 동일하게 보이는 메뉴, 메인 메뉴/대분류 메뉴 라고도 부른다. 최상위 메뉴로 보통 상단(헤더)에 위치하고 있다. 전역적인 네이게이션 바이다. LNB (Local Navigation Bar) GNB메뉴 클릭시 서브 메뉴형식으로 나오는 형태의 네비게이션, 서브메뉴/중분류 메뉴 라고도 부른다. 특정 지역(페이지)로 이동한다. 전역적인 네이게이션 바이다. SNB (Side Navigation Bar) 사이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