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AVA/JAVA개발자 양성과정

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NCP - 마운트 되어있던 스토리지 용량 변경하기(리눅스/윈도우), 서버 설정 복사하기 (Server-Image), 나스 서버 생성

728x90
반응형

🧱 리눅스 서버에 마운트 되어있던 스토리지 용량 변경하기

1. [putty] 서버에 마운트 되어있던 스토리지를 언마운트 한다.

# umount  /dev/xvdb1

 

2. [putty] growpart를 설치한다.

설치 이유 : 서버 입장에서 변경된 스토리지 용량을 인식시키기 위해

# yum install cloud-utils-growpart

 

3. [putty] 파티션에 대한 볼륨 정보 확인하기

# lsdlk

표시한 부분을 10->20으로 증가 시키려 한다.

 

4. [클라우드 콘솔] 서버에 연결 해제

Server > Storage 용량 변경하려는 서버 선택 후 [스토리지 설정] > 서버에 연결 해제 선택

- 서버가 운영중인 상태라면 추가 스토리지를 언마운트 시켜주거나, 서버가 정지 상태일 경우에만 서버에서 연결 해제가 가능합니다.

 

5. [클라우드 콘솔] 용량 변경

상태가 '사용가능'으로 바뀐 것 확인하고, [스토리지 설정] > 크기 변경 선택

증가시키려는 용량 적고 저장

* 증가는 가능하지만, 축소는 불가능하다.

 

6. [클라우드 콘솔] 다시 서버에 연결하기

[스토리지 설정] > 서버에 연결 선택

적용 서버 선택 후 저장

 

7. [putty] 서버에서 변경된 거 확인하기

용량 증설 전 / 후

xvdb는 20GB로 변경되었지만, 파티셔닝 되어있는 xvdb1은 10기가로 변함없다.

그래서 xvdb1를 20GB로 바꿔주어야 한다.

 

# growpart /dev/xvdb 1

dev의 xvdb 파트의 1번 파티션의 용량을 증설하겠다.

서버에 인식 시키기기 전/후

growpart로 서버에 인식해주면 위와 같이 xvdb1도 20GB로 잘 인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 

8. [putty] 파티션 공간 확장

# e2fsck -f /dev/xvdb1

 

9. [putty] 디스크에 마운트 해주기

# mount /dev/xvdb1 /disk1

 

 


🧱 윈도우 서버에 마운트 되어있던 스토리지 용량 변경하기

1. [클라우드 콘솔] 서버 정지

스토리지 언마운트를 위해 서버를 정지한다.

정지할 윈도우 서버를 선택하고 [정지]를 클릭한다.

 

 

2. [클라우드 콘솔] 서버에 연결 해제

Server > Storage 용량 변경하려는 서버 선택 후 [스토리지 설정] > 서버에 연결 해제 선택

 

3. [클라우드 콘솔] 용량 변경

상태가 '사용가능'으로 바뀐 것 확인하고, [스토리지 설정] > 크기 변경 선택

증가시키려는 용량 적고 저장

* 증가는 가능하지만, 축소는 불가능하다.

리눅스 서버 버전 이미지와 동일함

 

4. [클라우드 콘솔] 다시 서버에 연결하기

[스토리지 설정] > 서버에 연결 선택

적용 서버 선택 후 저장

상태> 사용 중으로 바뀌면 다음 단계

리눅스 서버 버전 이미지와 동일함

5. [클라우드 콘솔] 서버 시작

해당 윈도우 서버를 선택하고 [시작]을 클릭한다.

 

6. [원격 데스크톱 연결] 윈도우 서버 접속

 

id : administrator

pw : 서버 관리자 비밀번호

서버 관리자 비밀번호 확인 방법
예 클릭

 

7. [원격 데스크톱 연결] 윈도우 서버에서 변경 디스크 인식시키기

Create and format hard disk partitons 선택
Unallocated 인식되지 않은 10GB가 있다.
인식되어있는 10기가 영역을 우클릭 > Extend Volume 클릭
총 20기가가 있는데 현재 10기가만 등록되어있고, 10기가는 추가하는지 선택가능
완료하면 총 20기가가 disk에 인식된 것 확인 가능


🧱 상세 모니터링 설정

실제 두 서버에 대한 모니터링을 시행하겠다.

 


🧱 서버 설정 복사하기 (Server-Image)

1. 서버 이미지 생성

 

2. 서버 이미지 생성

Server > Server-Image 

복사할 서버 이미지 선택 후 [+서버 생성] 클릭

 

내 서버 이미지로 생성한 lnxsvr2 서버가 생성 중임을 확인할 수 있음


 

🧱 나스 생성

1. 나스 볼륨 생성

 

프로토콜 설정 

리눅스에서 사용 시 NFS

윈도우에서 사용 시 CIFS

사용할 서버 선택 후 다음 > 완료하기

 

 

2. [putty] 나스 서버 마운트 해주기

CentOS 6.x Linux에서 NF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nfs-utils 패키지를 설치하여야 한다.

# yum -y install nfs-utils

 

 

3. [putty] 마운트 포인트 만들기

# mkdir /mnt/nas

아래 밑줄 친 부분 확인하는 법

# mount -t nfs 169.254.82.85:/n2749429_lab3nfs /mnt/nas

 

만약 위에 코드를 실행했을 때 "mount.nfs: mount system call failed"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면 아래 코드를 사용하면 된다.

 

# mount -t nfs -o vers=3 169.254.82.85:/n2749429_lab3nfs /mnt/nas

 

서버 디렉터리 확인

# df -h

500기가짜리 나스서버가 mnt/nas에 마운트 됨


🧱 나스 스냅샷 생성, 사용하기 (나스 데이터 백업, 복원)

1. 나스 스냅샷 준비하기

 

스냅샷 자동 생성 주기 설정은 매일/매주 선택 가능하다.

 

스냅샷 할당 용량에 500기가의 5%인 25기가가 할당된 걸 볼수있다.

 

 

2. 테스트로 사용할 파일 추가

나스서버에 새로운 파일 a,b,c를 추가했다.

3. 스냅샷 생성하기

스냅샷을 생성할 나스 볼륨 선택후 [스냅샷 즉시 생성] 클릭
해당 나스 서버 하단에 현 시점으로 스냅샷이 생겨남을 확인 할수 있다.


🧱 Target Group 생성

웹 서비스의 가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로드 밸런서를 구성

 

 

1. 타깃 그룹 생성

 

classic platform --> VPC플랫폼에서는 사용자가 헬스체크 주기 및 임계치 설정이 가능하지만 클래식 플랫폼에서는 사용자가 수정이 불가능함.

 

[클래식 플랫폼에서의 로드밸런서 헬스체크 주기 및 임계치]

 

  • 6초마다 헬스체크를 수행
  • 3번 연속 성공하면 bind
  • 3번 연속 실패하면 unbind
  • unbind된 서버도 지속적으로 헬스체크를 수행한다.

 

 


🧱 필기

 

# X-Forwarded-For

실제 클라이언트의 아이피를 확인하고 싶을 때 사용

 

 

 

# - - - [18/Nov/2021:09:49:00 +0900] "HEAD / HTTP/1.1" 200 - "-" "-"

이렇게 나오는 건 로드 밸런스의 ip가 나오지 않게 설정했기 때문에 앞에 ip가 나오지 않음

 

 

내 ip가 아닌 게 찍혀있음

원인 : 아마 네트워크 로드밸런서도 로드밸런서가 헬스체크를 수행하기 위해서 접속을 하기 때문에 로드밸런서의 ip가 찍혀있을 수도 있음


# cdn서버를 특정 서버에서만 불러올 수 있게 하기

Referrer Domain : 사용했기 때문에 cdn서버에서는 안 보이고 alb도메인에서만 보이는 것임

 

 

#IP대역 계산하는 법 

ip대역 계산하기

728x90
반응형